[정보처리기사] 자격증 시험 회고

2025. 9. 12. 22:51·📜 Certs/정보처리기사

올해 정기 기사 2회 시험 "정보처리기사" 에 합격했고,
이번 글에서는 개발 업무와 병행하면서 한 달 동안 정보처리기사를 준비하며 배운 점과 느낀 점을 솔직하게 기록하려 합니다.


1. 공부 환경과 기간

  • 기간: 4주(한 달) 집중 학습
  • 평일: 퇴근 후 1~2시간 → 이론 1시간 + 문제 풀이 1시간
  • 주말: 3~4시간 → 전체 복습 + 실전 문제 풀이
  • 타이머 활용, 집중 모드 유지, 휴식 시간 최소화

짧지만 집중적인 학습으로 효율을 극대화했습니다.


2. 25년 개정판 출제 경향과 시험 포커스

2025년 개정판부터 정보처리기사 문제는 실무와 연계된 난이도 있는 문제 비중이 증가했습니다.
제가 준비하면서 파악한 출제 트렌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이론 문제
    • 자료구조: 연결 리스트, 스택, 큐, 트리, 해시 구조 등 실제 구현과 시간 복잡도 문제
    • 객체지향 패턴: 디자인 패턴 등 설계 구조 관련 이해 요구
    • 데이터베이스: 정규화, 트랜잭션, 인덱스 설계, 서브쿼리, 조인 최적화
  2. 실무형 코딩/실기 문제
    • SQL 쿼리 작성, 구조체 활용, 포인터 연습 필수
    • 시간 제한 내 코딩 응용 문제 처리 능력 필요 (C# , Python)
  3. 네트워크·보안
    • 서브넷 계산, CIDR, IP 클래스
    • 암호화 알고리즘, 인증/권한 처리 등 기본 보안 개념

3. 구체적 공부 전략과 요점 정리

(1) 구조체, 포인터, 자료구조

  • 구조체를 활용한 데이터 관리, 배열과 연결 리스트 변환 연습
  • 포인터와 메모리 주소 개념 정리 → 실제 문제에서 오류 없는 코드 구현

(2) 디자인 패턴 & 객체지향 설계

  • 디자인 패턴 문제에서 요구되는 구조 이해 (생성 , 구조 , 행위 패턴 종류 및 특징)
  • UML 다이어그램과 코드 매핑 연습 → 문제 풀이 시 구조 파악 속도 향상

(3) 네트워크 & 보안

  • 서브넷 문제 반복 연습, CIDR 계산
  • 기본적인 암호화 알고리즘, 인증/권한 설계 패턴 정리

(4) 문제 풀이 루틴

  1. 평일 점심시간 및 저녁 : 수제비 기본서 / 데일리 문제 → 틀린 문제 체크 → 핵심 키워드 암기
  2. 주말 : 수제비 파이널 / 5개년 빈출 모의고사  → 시간 관리 , 오답 노트 , 손코딩 연습
  3. 출/퇴근 시간 : 이론 암기 반복 

4. 공부하면서 느낀 점

한 달 동안 정보처리기사를 준비하면서 시험 공부가 단순 암기가 아니라 실무 CS와 개발 지식 강화로 직결된다는 것을 실감했습니다.
자료구조, 포인터, 구조체, SQL, 설계 패턴 등을 직접 코딩하고 문제에 적용하며 업무 효율과 디버깅 능력까지 향상시킬 수 있었고, 이를 통해 객체지향 설계와 패턴 학습이 팀 프로젝트와 코드 리뷰에서도 바로 활용 가능한 실질적 경험이 되었음을 깨달았습니다.
기출 문제와 실습을 반복하면서 문제 해결 속도와 정확도, 구조적 사고 능력도 함께 키울 수 있었고, 시험 준비 과정이 곧 개발자로서 기본 소양을 점검하고 다지는 시간으로 이어졌습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최적화, 트랜잭션, 서브넷 계산 등 실무와 연계된 지식을 직접 손으로 다뤄보면서 실무 적용 능력까지 동시에 높일 수 있었습니다.
결과적으로 한 달이라는 짧은 기간에도, 시험 준비가 개발자로서 자신감을 쌓고 전문성을 강화하는 체계적 학습 경험으로 이어져 앞으로의 업무와 성장에도 큰 밑거름이 되었다고 느낍니다.


5. 결과와 마무리

정기 기사 2회 시험 합격이라는 결과를 얻었습니다.
단순한 자격증 취득 그 이상의 경험이었고, 실무에 바로 적용 가능한 지식과 문제 해결력을 얻었습니다.

계획했던 합격 일정보다 조금 늦었지만 , 그만큼 집중해서 더 오래 공부할 수 있었고,
덕분에 배운 내용들을 단순 암기가 아니라 확실히 내 것으로 체득할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꾸준히 실무 경험 + 심화 학습을 병행하며 추가로 필요한 자격증도 공부하며 성장할 계획입니다.
이번 경험을 기반으로 개발자로서 더 깊고 탄탄한 지식 체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 자신합니다.

다음에는 또 다른 자격증 준비 이야기로 찾아뵙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Certs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정보 시스템 구축 관리 - 5과목 정리  (4) 2025.01.30
[정보처리기사]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 4과목 정리  (2) 2025.01.28
[정보처리기사] 데이터베이스 구축 - 3과목 정리  (3) 2025.01.28
[정보처리기사] 소프트웨어 개발 - 2과목 정리  (2) 2025.01.23
[정보처리기사] 소프트웨어 설계 - 1과목 정리  (3) 2025.01.22
'📜 Certs/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정보처리기사] 정보 시스템 구축 관리 - 5과목 정리
  • [정보처리기사]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 4과목 정리
  • [정보처리기사] 데이터베이스 구축 - 3과목 정리
  • [정보처리기사] 소프트웨어 개발 - 2과목 정리
hjwjo
hjwjo
백엔드 및 풀스택 개발에 관심 있는 초보 개발자의 개발 블로그입니다.
  • hjwjo
    Jeongwoo's Devlog
    hjwjo
  • 전체
    오늘
    어제
    • Devlog N
      • 🗄️ Backend
        • Java
        • Spring
        • JPA
        • SQL
        • JSP
        • AWS
        • GCP
        • Linux
        • GitHub
        • ML
        • Security
      • 🖥️ Frontend N
        • React N
        • CSS
      • 🏅 Project
        • Hackathon
        • Team Project
      • 📊 Algorithm
        • BOJ
      • 📜 Certs
        • ADsP
        • SQLD
        • 정보처리기사
      • 📖
        • JavaScript
      • 일상
        • 면접후기
  • 블로그 메뉴

    • 홈
    • Devlog
    • 태그
    • 방명록
  • 링크

    • GitHub
  • 공지사항

  • 인기 글

  • 태그

    DML
    백준
    스프링
    자바
    GCP
    백엔드
    데이터베이스
    ADsP
    스프링부트
    정보처리기사
    AWS
    java
    http
    jsp
    springboot
    쿼리
    java기초
    정처기
    Spring
    SQL
  • 최근 댓글

  • 최근 글

hjwjo
[정보처리기사] 자격증 시험 회고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