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입 개발자로서의 3개월, 앞으로의 목표

2025. 5. 18. 23:17·일상

지난주, 드디어 저의 수습 기간이 끝났습니다.

처음 업무를 시작했을 때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했던 3주차가 엊그제 같은데,

벌써 3개월 차가 되어 수습 기간을 조용히 마무리했습니다.

수습 기간이 지나며 비로소 진정한 일원이 된 듯한 뜻깊은 시간이었습니다.

3개월간의 성장 과정

3개월이란 시간 동안 가장 많은 노력을 기울인 부분은 회사의 공통 코드와 선임 개발자분들의 MVC 패턴을 분석하며 코드 작성 방식을 이해하는 것이었습니다. 아직 3개월 차라 부족한 점이 많지만, 이제는 선임분들이 어떤 방식으로 구현하고자 했는지 느낌을 이해하고, 때로는 '내가 이런 방식을 시도해봐도 괜찮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물론 제 의견을 조심스럽게 제시할 뿐, 회사의 개발 방식과 원칙을 존중하며 모두의 의견을 최대한 수용하는 방향으로 업무에 임하고 있습니다. 그 과정에서 상사분들과 함께한 코드 리뷰 시간은 실무 역량 향상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Notion의 활용

Notion에 메모하는 습관이 제게 엄청난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매일 어떤 일을 했는지 파악하기 쉽지 않지만, 작업이 끝날 때마다 짧게는 10분에서 길게는 30분 정도 시간을 내어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정리하고 있습니다:

  • 어떤 문제를 해결했는지
  • 어떤 방식으로 접근했는지
  • 내 의견이 반영되지 않았더라도 어떻게 생각하고 해결하려 했는지

이전부터 트러블 슈팅이나 처음 접하는 기술에 대해 기록하는 습관이 있었는데, 실무에 투입된 후에 이 습관이 가장 큰 자산이 되고 있습니다.

프로젝트 설정의 중요성

프로젝트 설정은 개발 환경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각 프로젝트마다 버전 업데이트 과정에서 재설정이 필요한 작업들이 있는데, 버전 관리를 위한 Deployment Assembly나 Java Build Path 설정과 같은 부분은 정해진 단순한 작업이지만, 그 원인을 모른다면 해결에 많은 시간을 낭비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설정은 알면 가장 쉽지만 놓치기 쉽고, 작업 효율성을 위해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쿼리 최적화에 대한 고민

데이터베이스 쿼리와 관련해서는 여러 의견 차이가 있었습니다. 제가 옳다고 생각하는 방식과 회사의 업무 효율성을 위한 방식 사이에는 분명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절대적인 정답은 없겠지만, 백엔드와 프론트엔드를 아우르는 문제 중에서도 쿼리는 서버의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쿼리 튜닝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어떤 결과가 나오더라도 충분한 의견을 나누고 이해하는 시간이 필요하며, 제가 고민한 시간에 기반한 쿼리가 어떤 결과를 내었는지, 어떤 상황에서 어떤 과정을 통해 이러한 쿼리를 사용했는지 Notion에 기록하는 습관을 들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습관이 제 업무 효율성과 이해도 향상에 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동료로서의 자세

신입으로서 늘 궁금증을 가지고 질문하고, 이해하려 노력하는 과정에서 좋은 분들과 많은 인사이트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저 또한 동기들뿐만 아니라 선임분들께도 도움이 되는 동료가 되고자 합니다.

앞으로의 목표

회사 생활을 하면서 스스로를 위한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해 나가는 과정을 기록하고자 합니다.

나중에 돌아보며 얼마나 이루어냈는지 반성하고 또 자랑할 수 있는 시간을 갖고 싶어 몇 가지 계획을 세웠습니다.

자격증 취득 계획

  1. 정보처리기사
    • 1회 필기는 합격, 1회 실기는 결과 대기 중
    • 결과와 상관없이 올해 안에 반드시 취득 예정
  2. 빅데이터 분석기사
    • 가능한 빠르게 필기와 실기를 한 번에 합격하는 것이 목표
    • 회사 업무에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 학습 진행
  3. CKA(쿠버네티스 자격증)
    • Udemy 강의를 통한 학습 계획
    • 당장 급한 자격증은 아니므로 자기 학습 중심으로 접근
  4. AWS Certified
    • 관심은 있으나 우선순위는 상대적으로 낮음
    • 업무를 소홀히 하지 않는 선에서 짬짬이 준비

개인 프로젝트 계획

  1. 사이드 프로젝트 완성
    • MVP 단계까지 진행한 Flow와 Qiosk 프로젝트 마무리
    • 실제 배포 및 사용 가능한 수준까지 완성하는 것이 목표
  2. 개인 포트폴리오 웹사이트 구축
    • 자기 PR을 위한 개인 웹사이트 제작
  3. 자동화 도구 학습 및 활용
    • n8n과 같은 자동화 툴을 활용한 AI 에이전트 기능 학습
    •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수준까지 역량 개발

목표를 이루기 위해 하나씩 차근차근 나아가며, 업무와 개인 성장의 균형을 맞추어 발전하겠습니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 2025.04.10
신입 개발자 3주 차 : 풀스택 개발자로 살아남기  (0) 2025.03.10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 -
  • 신입 개발자 3주 차 : 풀스택 개발자로 살아남기
hjwjo
hjwjo
백엔드 및 풀스택 개발에 관심 있는 초보 개발자의 개발 블로그입니다.
  • hjwjo
    Jeongwoo's Devlog
    hjwjo
  • 전체
    오늘
    어제
    • Devlog
      • 🗄️ Backend
        • Java
        • Spring
        • JPA
        • SQL
        • JSP
        • AWS
        • GCP
        • Linux
        • GitHub
        • ML
        • Security
      • 🖥️ Frontend
        • React
        • CSS
      • 🏅 Project
        • Hackathon
        • Team Project
      • 📊 Algorithm
        • BOJ
      • 📜 Certs
        • ADsP
        • SQLD
        • 정보처리기사
      • 📖
        • JavaScript
      • 일상
        • 면접후기
  • 블로그 메뉴

    • 홈
    • Devlog
    • 태그
    • 방명록
  • 링크

    • GitHub
  • 공지사항

  • 인기 글

  • 태그

    ADsP
    정보처리기사
    java
    정처기
    GCP
    백준
    스프링
    DML
    스프링부트
    데이터베이스
    자바
    AWS
    쿼리
    Spring
    java기초
    백엔드
    http
    springboot
    SQL
    jsp
  • 최근 댓글

  • 최근 글

hjwjo
신입 개발자로서의 3개월, 앞으로의 목표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